본문 바로가기
경제

청년도약계좌의 모든것! (대한민국 청년목돈마련 5년만에 5천만원)

by 내가핵인싸 2023. 7. 24.
반응형

오늘은 청년들의 재테크에 도움이 되는 정부의 새로운 정책인 청년도약계좌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는 5년간 적금이나 주식 등에 투자할 경우, 정부가 지원금을 주고 세금을 면제해 주어 최대 5,000만 원의 자산을 쌓을 수 있도록 하는 금융상품입니다. 이 글에서는 청년도약계좌의 개요, 이자, 자격, 신청방법 등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썸네일

 

목차

 

1. 청년도약계좌란 무엇인가? 

2. 청년도약계좌의 이자는 얼마인가? 

3. 청년도약계좌의 자격은 무엇인가? 

4. 청년도약계좌의 신청방법은 무엇인가? 

 

 

1. 청년도약계좌란 무엇인가?

청년도약계좌- 스마일이 그려져있는 엄지손가락을 들었다

청년도약계좌는 정부가 2023년부터 시작할 예정인 새로운 금융상품입니다. 청년들이 5년간 적금이나 주식 등에 투자할 경우, 정부가 지원금을 주고 세금을 면제해주어 최대 5,000만 원의 자산을 쌓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이는 윤석열 대통령이 대선 공약에서 청년층에게 재테크 기회를 제공하겠다고 약속한 것입니다.

 

청년도약계좌는 문재인 전 정부에서 시행한 청년희망적금과 비슷한 개념이지만, 가입 조건과 납입 한도, 지원 규모 등이 다릅니다. 또한, 적금만이 아니라 주식, 펀드, ETF 등 다양한 상품에 투자할 수 있어 자신의 특성과 목표에 따라 자산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2. 청년도약계좌의 이자는 얼마인가?

 

청년도약계좌-신한은행 이자사진
신한은행-출처

청년도약계좌의 이자는 시중은행의 5년 만기 적금 이자에 가산이자를 더하는 방식으로 결정될 예정입니다. 가산이자는 납입액과 소득 수준에 따라 차등적으로 적용될 것으로 보이며, 최대 6%까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예를 들어, 월 70만원을 납입하고 소득 수준이 낮은 경우, 가산이자가 6%라면 연 12%의 이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시중은행의 5년 만기 적금 이자는 현재 연 평균연평균 1.8% 수준입니다. 따라서, 청년도약계좌의 이자는 연평균 8% 이상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렇게 되면, 월 70만원을 납입하면 5년 만기에 세후 약 5천만 원의 자산을 모을 수 있습니다.

 

3. 청년도약계좌의 자격은 무엇인가?

 

청년도약계좌- 소득별이자표 사진
신한은행-출처

1. 청년도약계좌의 가입 자격은?

  • 만 19세 이상 34세 이하의 청년 
  • 개인소득이 6천만 원 이하이면서 가구소득이 중위소득의 180% 이하인 경우 
  • 병역이행자의 경우 병역이행 기간 (최대 6년) 만큼 연령 계산 때 빼줌 
  • 월 납입액은 40만원에서 70만 원 사이로 선택 가능 
  • 계좌 만기는 5년

가구소득 기준이 추가됐지만, 개인소득 요건은 청년희망적금 (총 급여 3천600만 원 이하) 보다 완화했습니다. 보건복지부가 고시한 2022년도 중위소득 (2인 가구 기준 월 326만 원)을 기준으로 하면 2인 가구의 경우 월소득 586만 8천 원 이하가 대상이 됩니다. 정부가 예상하는 대상자는 약 306만 명입니다. 19∼34세 인구 (약 1천59만 명) 중 약 30%가 가입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4. 청년도약계좌의 신청방법은 무엇인가?

 

청년도약계좌신청방법 

 

    • 12개 은행 중 하나를 선택하여 영업점이나 인터넷뱅킹 등을 통해 가입신청 
    • 가입신청 기간은 매월 초에 공지될 예정 
    • 가입신청 후 은행에서 가입 가능 여부를 안내받고 계좌개설
    • 계좌개설 후 원하는 상품 (적금, 주식, 펀드, ETF 등)을 선택하여 투자

12개 은행은 국민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 우리은행, 농협은행, 기업은행, SC제일은행, 부산은행, 대구은행, 광주은행, 전북은행, 경남은행입니다. 첫 번째 가입신청 기간은 내년 하반기에 공지될 예정입니다.

 

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의 재테크에 도움이 되는 좋은 기회라고 생각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정부나 은행에서 공지할 때까지 기다려보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