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가지 법칙으로 알아보는 조직과 사회의 현상(파레토 법칙,파킨스 법칙,피터법칙)
오늘은 파레토 법칙, 파킨스 법칙, 피터 법칙이라는 3가지 법칙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이 3가지 법칙은 각각 경제학, 조직론, 사회학에서 유래한 개념이지만, 우리의 일상이나 사회에서도 쉽게 볼 수 있는 현상들을 설명해 줍니다. 각각의 법칙이 무엇인지, 어떤 예시가 있는지, 그리고 우리 실생활에서 어떤 교훈을 줄 수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목차 1. 파레토 의법칙 2. 파킨스 의법칙 3. 피터 의법칙 4. 마무리 1. 파레토 의법칙 파레토 법칙이란 전체 결과의 대부분이 전체 원인의 일부에서 발생한다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전체 매출의 80%가 고객의 20%에서 나온다거나, 전체 시간의 80%가 일의 20%에 사용된다는 것입니다. 이 법칙은 이탈리아의 빌프레도 파레토라는 경제학자가 소득 분포에 ..
2023. 7. 12.
경제 용어로 살펴보는 경제 지표(GDP,CPI,채권,주식,금리)
경제는 우리의 삶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습니다. 우리는 매일매일 물건을 사고팔고, 돈을 벌고 쓰고, 투자를 하고 저축을 하면서 경제 활동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경제 활동을 할 때에는 단순히 개인의 이익만을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적인 경제 상황과 향후 전망을 고려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물가가 오르면 돈의 가치가 떨어지므로 저축보다는 소비나 투자를 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물가가 내려가면 돈의 가치가 오르므로 저축보다는 소비나 투자를 하는 것이 불리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우리의 경제 활동은 다양한 경제 지표에 영향을 받고, 반대로 우리의 경제 활동은 다양한 경제 지표에 영향을 줍니다. 그렇다면 어떤 경제 지표들이 있고, 그들은 어떤 의미와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
2023. 7. 12.
물가의 변화를 나타내는 세가지 경제용어, 인플레이션,디플레이션,스테그플레이션이란 무엇일가?
물가의 변화를 나타내는 세가지 경제용어, 인플레이션,디플레이션,스테그플레이션이란 무엇일가? 오늘은 경제에서 자주 듣는 세 가지 용어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이 세 가지 용어는 모두 물가의 변화를 나타내는 경제용어인데요, 각각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목차 1. 인플레이션 2. 디플레이션 3. 스테그플레이션 4. 마무리 1. 인플레이션 인플레이션은 전반적인 물가 상승을 의미합니다. 즉, 화폐의 가치가 떨어지고 구매력이 감소하는 현상입니다. 예를 들어, 10년 전에 1만 원으로 살 수 있던 물건이 2만 원이 되었다면 인플레이션이 발생한 것입니다. 인플레이션은 일정 수준까지는 경제에 긍정적인 효과를 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물가 상승으로 인해 기업의 수익이 증가하면 투자와 고용을 촉..
2023. 7.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