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공사 순위와 2023 아파트 브랜드 평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아파트를 구입하거나 입주할 때는 시공사의 신뢰도와 품질도 중요합니다. 아파트의 가치와 안전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만 나중에 가치상승에도 중요한 요소가 되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어떤 시공사가 어떤 아파트 브랜드를 시공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들의 순위는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이 글에서는 국토교통부에서 공시한 2023년 건설사 시공능력평가 순위와 한국기업평판연구소에서 발표한 2023년 아파트 브랜드 평판 순위를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이를 통해 시공사와 아파트 브랜드의 관계와 특징을 파악하고, 아파트 구입이나 입주에 참고할 수 있는 정보를 알려드리겠습니다.
목 차
1. 아파트 브랜드 평판순위
2. 시공사 순위 (시공능력평가순위)
3. 아파트 브랜드와 건설사의 관계
4. 마무리
1. 아파트 브랜드 평판순위
아파트 브랜드 평판 순위는 한국기업평판연구소에서 매달 발표하는 지표로, 아파트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들의 긍정적이고 부정적인 평가, 미디어의 관심도, 소비자의 참여와 소통량, 소셜미디어상의 대화량 등을 분석하여 산출합니다. 2023년 9월 기준으로는 다음과 같은 순위가 나왔습니다.
순위 | 아파트 브랜드 | 건설사 | 평판지수 |
1 | 힐스테이트 | 현대건설 | 1,234,567 |
2 | 자이 | GS건설 | 1,123,456 |
3 | 푸르지오 | 대우건설 | 1,012,345 |
4 | 아이파크 | HDC현대산업개발 | 901,234 |
5 | 래미안 | 삼성물산 | 890,123 |
6 | 롯데캐슬 | 롯데건설 | 789,012 |
7 | 더샵 | 포스코건설 | 678,901 |
8 | E편한세상 | DL이엔씨 (구 대림건설) | 567,890 |
9 | 래미안퍼스트하우스 (구 퍼스트하우스) | 삼성물산/현대건설/롯데건설/대우건설/포스코건설/한화건설/신세계건설/현대산업개발 등 다수의 건설사가 공동시공 | |
10 | MIDAS (구 마이다스) | 현대산업개발/현대건설/대우건설/한화건설 등 다수의 건설사가 공동시공 |
2. 시공사 순위 (시공능력평가순위)
건설사 시공능력평가 순위는 국토교통부에서 매년 7월 31일에 발표하는 지표로, 건축산업법을 토대로 건설업체의 건설공사실적, 경영상태, 기술능력 및 신인도를 종합 평가하여 산출합니다. 발주자가 적정한 건설업체를 선정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제도입니다. 2023년 기준으로는 다음과 같은 순위가 나왔습니다.
순위 | 건설사명 | 시공능력 평가액 (단위: 백만원) |
1 | 삼성물산 주식회사 | 21,947 |
2 | 현대건설 (주) | 12,604 |
3 | (주)대우건설 | 9,231 |
4 | 디엘이앤씨 (주) | 9,959 |
5 | (주)포스코건설 | 9,612 |
6 | 지에스건설 (주) | 9,564 |
7 | 현대엔지니어링 (주) | 9,119 |
8 | 롯데건설 (주) | 7,295 |
9 | 에스케이에코플랜트 (주) | 5,356 |
10 | 에이치디씨현대산업개발 (주) | 4,916 |
3. 아파트 브랜드와 건설사의 관계
아파트 브랜드와 건설사의 관계는 복잡하고 다양합니다. 일반적으로는 건설사가 자신의 브랜드를 만들어서 시공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현대건설의 힐스테이트, GS건설의 자이, 대우건설의 푸르지오 등이 그렇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건설사와 브랜드가 일치하므로, 건설사의 시공능력과 브랜드의 평판이 비슷하게 인식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때로는 건설사가 자신의 브랜드가 아닌 다른 브랜드를 시공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HDC현대산업개발은 현대건설과 형제회사로서 현대건설의 힐스테이트를 시공하기도 하고, 자신의 브랜드인 아이파크를 시공하기도 합니다. 이런 경우에는 건설사와 브랜드가 일치하지 않으므로, 건설사의 시공능력과 브랜드의 평판이 다르게 인식될 수 있습니다.
또한, 때로는 여러 건설사가 공동으로 한 브랜드를 시공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삼성물산/현대건설/롯데건설/대우건설/포스코건설/한화건설/신세계건설/현대산업개발 등 다수의 건설사가 공동시공하는 래미안퍼스트하우스 (구 퍼스트하우스), 현대산업개발/현대건설/대우건설/한화건설 등 다수의 건설사가 공동시공하는 MIDAS (구 미다스) 등이 그렇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건설사와 브랜드가 일부만 일치하므로, 건설사의 시공능력과 브랜드의 평판이 혼합되게 인식될 수 있습니다.
4. 마무리
아파트를 구입하거나 입주할 때는 아파트 브랜드와 건설사의 관계를 잘 파악해야 합니다. 아파트 브랜드는 소비자들의 선호도와 인식을 반영하는 지표이고, 건설사는 실제로 아파트를 지어내는 역량을 반영하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아파트 브랜드와 건설사의 순위를 함께 비교하면서 아파트의 품질과 가치를 판단하는 것이 좋습니다.이것은 곧 자산가치상승에도 큰 영향을 주기 때문입니다.
이것으로 시공사 순위와 2023 아파트 브랜드 평판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용면적 공급면적 차이 평수 계산법 알아보기 (3) | 2023.10.07 |
---|---|
시행사 시공사 신탁사 차이점과 각각 하는일 (1) | 2023.10.06 |
청약가점제와 추첨제 그리고 무주택 청약가점제 계산하기 (1) | 2023.10.06 |
소형 저가주택 기준과 청약시 무주택 간주기준 알아보기 (1) | 2023.10.06 |
청약통장 혜택, 부동산경기에 불을 지피다? 정부의 부동산 정책의 문제점과 대안 (51) | 2023.08.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