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풍 카눈 예상경로와 위력(강도) 그리고 피해 가능성과 대비방법
이번에 한반도에 발생한 강력한 태풍 카눈에 대해서 알아보고, 어떻게 대비할 수 있는지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태풍 카눈은 일본 오키나와와 미야코지마를 강타한 후 한반도로 북상하고 있습니다. 태풍의 강도와 경로는 변동될 수 있으므로, 기상청의 예보와 특보를 꾸준히 확인하고, 예방과 안전수칙을 철저히 지켜야 합니다. 태풍으로 인한 피해가 없도록 서로 도우며 재난에 대비해야 합니다.
목차
- 태풍 카눈의 예상경로와 강도
- 태풍 카눈 이름의 뜻
- 태풍 카눈으로 인한 피해 가능성
- 태풍 카눈에 대비하는 예방과 안전수칙
1. 태풍 카눈의 예상경로와 강도
태풍 카눈은 지난 7월 28일 발생한 대형 태풍으로, 기차를 탈선시킬 수 있는 강력한 바람을 불게 합니다. 태풍의 중심기압은 970hPa, 최대풍속은 초속 35m로, 기차를 탈선시킬 수 있는 강력한 바람을 불게 합니다. 태풍의 예상 경로는 10일 오전 중 경남 남해안에 상륙한 후 한반도를 관통하며 강릉 북서쪽으로 이동할 것으로 보입니다. 태풍이 지나가는 동안 전국에는 강한 바람과 함께 최대 500mm의 폭우가 예상되어, 침수, 산사태, 돌풍 등의 피해가 우려됩니다.
2. 태풍 카눈 이름의 뜻
태풍 카눈의 이름은 태국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태국의 열대 과일인 잭 프루트를 뜻한다고 합니다. 잭 프루트는 크기가 크고 향이 강한 열대과일로, 태국에서는 카눈이라고 부릅니다. 태풍 카눈은 이 과일의 이름을 따서 붙여진 것이라고 합니다.
3. 태풍 카눈으로 인한 피해 가능성
태풍 카눈은 10일 남해안에 상륙한 후 한반도를 관통하며 전국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 중에서도 강원영동 지역은 최대 200mm 이상의 많은 비가 내릴 것으로 보여서, 침수나 산사태 등의 피해가 가장 크게 우려됩니다. 또한 태풍의 강풍반경은 전국 대부분 지역을 포함하고 있어, 바람에 날아갈 위험이 있는 물건이나 시설물 등에 대한 피해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태풍이 오기 전에 안전수칙을 철저히 준수하고, 기상정보를 수시로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4. 태풍 카눈에 대비하는 예방과 안전수칙
태풍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예방과 안전수칙을 준수해야 합니다.
- 태풍이 오기 전에 TV, 라디오, 인터넷, 스마트폰 등을 통해 기상상황을 수시로 확인하고, 주변에 알려줍니다.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안전디딤돌’을 설치하면 재난정보를 실시간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 산간·계곡, 하천, 방파제 등 위험지역에서는 주변에 있는 사람들과 함께 안전한 곳으로 대피합니다. 저지대나 상습 침수지역, 산사태 위험지역, 지하 공간이나 붕괴 우려가 있는 노후주택·건물 등에서도 안전한 곳으로 이동합니다.
- 주택이나 차량, 시설물 등의 보호를 위해 가족이나 지역주민과 함께 준비합니다. 바람에 날아갈 위험이 있는 지붕, 간판 등은 미리 결박하고, 창문은 창틀에 단단하게 테이프 등으로 고정합니다. 하천이나 해변, 저지대에 주차된 차량은 안전한 곳으로 이동합니다. 가정의 하수구나 집 주변의 배수구를 미리 점검하고 막힌 곳은 뚫습니다. 시설하우스 등 농업 시설물은 버팀목이나 비닐 끈 등으로 단단히 묶고, 농경지는 배수로를 정비하여 피해를 예방합니다. 선박이나 어망·어구 등은 미리 결박하여 피해를 최소화하도록 합니다. 공사장, 축대, 옹벽 등을 미리 점검합니다.
- 가족과 함께 비상용품을 준비하여 재난에 대비합니다. 비상시 신속한 대피를 위해 응급용품은 미리 배낭 등에 넣어둡니다. 상수도 공급이 중단될 수 있으므로 욕실 등에 미리 물을 받아둡니다. 정전에 대비하여 비상용 랜턴, 양초, 배터리 등을 미리 준비해 둡니다. 긴급 상황에 따른 정보 수신을 위해 가까운 행정복지센터 (주민센터) 등의 연락처를 확인합니다.
- 외출은 자제하고 연세 많은 어르신 등은 수시로 안부를 확인합니다. 약속된 일정은 취소하거나 조정하여 외출을 자제하고, 주변에 정보를 알려 줍니다. 연세 많은 어르신, 어린이, 장애인 등은 외출을 하지 않도록 당부하고 수시로 전화
태풍 카눈 위력(강도)와 예상경로 그리고 피해 가능성과 대비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태풍 카눈은 한반도에 큰 피해를 줄 수 있는 강력한 태풍입니다. 태풍의 이동과 강도는 변동될 수 있으므로, 기상청의 예보와 특보를 꾸준히 확인하고, 예방과 안전수칙을 철저히 지켜야 합니다. 태풍으로 인한 피해가 없도록 서로 도우며 재난에 대비합시다.
'경제 > 사회.잇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상벌레 증상,치료법,예방,신고방법 알기 (3) | 2023.08.06 |
---|---|
주4일제 언제쯤 가능할까?(해외에서 성공사례와 실패사례 그리고 사회적변화와 문제점 예측과 해결방안) (2) | 2023.07.17 |
태풍 4호 '탈림'의 특징과 대비하는 방법은? (0) | 2023.07.17 |
만나이 통일법 총정리. 적용되는 분야와 예외사례,우리생활에 미치는영향 등 꼭 알아두세요! (12) | 2023.06.28 |
2023년 하반기 바뀌는 법안 총정리.아동학대,교통,건강보험,출산.육아,그밖에 기타 법안! (5) | 2023.06.27 |